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그 기업의 PER이, 그러니까 저평가라고 평가한다, PBR이, 그러니까 저평가라고 평가한다 이런 얘기를 듣곤 하는데요.해당 용어를 네이버에서 검색하면 그때만 잠시 이해하고 다시 휘발될 수 있습니다.그래서 오늘은 주식 투자 시 가장 기본적인 지표인 PER, PBR, ROE, EPS에 대해 쉽고 정확하게 짚어보겠습니다. <목차> 1. EPS와 PER 2. PBR과 ROE 3. 지표해석시 주의사항1.그리고 EPS도.1.그리고 EPS도.EPS란 주당 순이익으로 회사가 1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해당 회사가 1년간 올린 수익에 대한 주주들의 지분을 나타내는 지표로 쉽게 말해 주식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했는지를 보여줍니다.EPS가 높다는 것은 보통 회사가 경영을 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EPS를 손에 넣기 위해서는 해당 회사의 당기순이익과 상장주식 수를 알아야 합니다.먼저 DART에 들어가 해당 기업의 보고서를 열어보면 총 주식 수와 당기순이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네이버 증권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는데요.네이버 증권에 관심 있는 기업을 찾아보면 상장주식 수를 알 수 있고 재무분석 탭에서 순이익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주식 투자 때 가장 많이 듣고 PER란 현재의 주가가 그 회사의 1주당 순이익의 몇배가 될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EPS로 나눌 수 있습니다.그런데 EPS가 주가를 순이익으로 나눈 지표이므로 이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회사의 시가 총액을 당기 순이익으로 나눈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즉, PER란 간단히 말하면 제가 해당 기업을 사서 경영을 하면 몇년 후에 본전을 찾을 수 있는지에 대한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만약 PER이 낮으면 단기간에서 본전을 되찾을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회사가 저평가 구간에 있는 가능성이 높습니다.2.PBR과 ROE주식 투자 시 가장 많이 듣는 PER는 현재 주가가 그 회사 주당순이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EPS로 나눌 수 있습니다.그런데 EPS가 주가를 순이익으로 나눈 지표이기 때문에 이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회사의 시가총액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지표로도 볼 수 있습니다.즉, PER란 쉽게 말해 제가 해당 기업을 사서 경영을 하면 몇 년 후에 본전을 되찾을 수 있는지에 대한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만약 PER가 낮다면 단기간에 본전을 찾을 수 있다는 뜻이고, 따라서 회사가 저평가 구간에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PBR과 ROEPBR은 기업이 1주당 얼마나 자기 자본을 갖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통상 1을 기준으로 만약 PBR이 1보다 작으면 회사를 매각했을 때 보유 자본을 주주에게 나누어도 회사에 자산이 남게 됩니다.그러므로 PBR은 기업의 재무 안정성을 고려할 때 자주 보게 됩니다.그럼 PBR이 낮은 기업은 저평가 주식인 겁니까?그렇지 않습니다.만약 경영진이 회사의 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없을 때도 PBR는 낮게 나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그래서 PBR을 볼 때는 ROE와 함께 볼 필요가 있습니다.ROE란 자기자본 수익률이라는 말로 회사가 가진 자본금으로 얼마나 수익을 내는지에 대한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ROE가 10%인 기업이 있고 해당 기업의 자본이 1000만원이라면 이 의미는 회사가 1000만원이라는 자본으로 100만원의 수익을 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즉 ROE가 높다는 것은 보통 해당 기업이 자신이 가진 자산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경영을 해 고수익을 창출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지표 분석 시 주의사항ROE란 자기자본 수익률이라는 말로 회사가 가진 자본금으로 얼마나 수익을 내는지에 대한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ROE가 10%인 기업이 있고 해당 기업의 자본이 1000만원이라면 이 의미는 회사가 1000만원이라는 자본으로 100만원의 수익을 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즉 ROE가 높다는 것은 보통 해당 기업이 자신이 가진 자산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경영을 해 고수익을 창출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지표 분석 시 주의사항여기까지 용어의 의미를 알게 되면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ROE는 높고 PER와 PBR은 낮은 기업이 저평가 기업이라고 생각하는데요.이 말은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기업이란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역동적으로 변화해 나가기 때문입니다.지난해 주식 시장을 석권한 황제 주는 단연 에코 프로 BM입니다.에코 프로 비ー엠의 PER는 100을 넘습니다.일반론에 따르면 이 주식은 절대 살 수 없는 주식입니다.그러므로 주식의 가치를 평가할 때는 과거의 순이익을 바탕으로 계산된 현재의 PER보다는 미래의 PER를 더 깊이 생각해야 합니다.해당 기업이 향후 EPS를 얼마나 거둘 수 있을지를 예상하고 만약 EPS의 고성장으로 미래의 PER이 낮아질 것이라고 추정되면 기업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마찬가지로 PBR이 1을 넘으면 위험한 주식이므로 절대 사서는 안 될까요?한국의 대표적인 IT기업인 NAVER의 PBR은 1을 훨씬 넘습니다.그럼 NAVER는 투자해서는 안 될까요?NAVER 같은 IT기업은 업종 특성상, 무형 자산이 많고 상대적으로 순자산이 적어 PBR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그러므로 PBR지표를 해석할 때는 해당 업종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ROE의 해석도 조심해야 합니다.ROE을 높이는 방법은 당기 순이익을 낼 방법도 있지만, 분모인 자기 자본을 낮추는 방법도 있습니다.자기 자본을 낮추기 위해서 기업은 부채를 대폭 늘릴 수 있습니다.그러므로 ROE을 볼 때는 높은 ROE가 기업의 순이익 성장으로 유지될지, 아니면 자기 자본의 조정으로 유지되는지 확인해야 하며 높은 ROE가 향후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를 생각해야 합니다.오늘은 PER, EPS, PBR, ROE의 대표적인 주식 용어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이 지표들의 공통점은 하나만 봐서는 안 되고 모든 지표를 종합적으로 보고 해석해야 하며 반드시 현재의 숫자보다는 미래의 숫자를 기반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투자에 절대적인 것은 없기 때문에 오늘 배운 지표를 분석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자신만의 기준을 차근차근 만들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