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번 노비 12년 – 악의 평범성

<노예 12년> 미국 흑역사에 길이 남을 일은 단연 노예제도다. 사람을 소유재산(Property)으로 인정한 제도는 매우 폭력적이고 반인륜적이다. 남북전쟁의 원인 중 하나는 노예제도의 폐지였다. 노예제도 폐지는 르네상스, 인간존중이라는 시대적 조류를 타고 이슈로 떠올랐지만 상공업 중심의 북부는 노동자가 필요했고 농업 중심의 남부는 노예제도 유지가 필요했던 현실적 상황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링컨은 노예제도의 폐지를 주장했고, 이에 반대하는 남부는 반발해 남북전쟁이 발발했다. <노예 12년> 미국 흑역사에 길이 남을 일은 단연 노예제도다. 사람을 소유재산(Property)으로 인정한 제도는 매우 폭력적이고 반인륜적이다. 남북전쟁의 원인 중 하나는 노예제도의 폐지였다. 노예제도 폐지는 르네상스, 인간존중이라는 시대적 조류를 타고 이슈로 떠올랐지만 상공업 중심의 북부는 노동자가 필요했고 농업 중심의 남부는 노예제도 유지가 필요했던 현실적 상황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링컨은 노예제도의 폐지를 주장했고, 이에 반대하는 남부는 반발해 남북전쟁이 발발했다.

노예 12년 감독 스티브 맥퀸 출연 치웨텔 에지오포, 마이클 패스벤더, 베네딕트 컴버배치, 브래드 피트 개봉 2014.02.27. / 2021.04.22. 재개봉 노예 12년 감독 스티브 맥퀸 출연 치웨텔 에지오포, 마이클 패스벤더, 베네딕트 컴버배치, 브래드 피트 개봉 2014.02.27. / 2021.04.22. 재개봉

 

영화 배경 영화의 배경

1840년 노예 수입 금지 조치로 노예 수급에 어려움을 겪은 남부 지주들은 북부 주, 노예에서 자유인이 된 흑인을 납치해 남부에 내다 파는 인신매매단으로부터 노예를 조달받았다. 농업(면화, 사탕수수 등)을 위해 인부가 필요했던 남부의 지주들은 노예를 사들여 자신들의 부를 축적했고, 대다수의 백인 지주들은 노예 관리자들을 통해 가혹하게 흑인 노예들을 다루었다. 1840년 노예 수입 금지 조치로 노예 수급에 어려움을 겪은 남부 지주들은 북부 주, 노예에서 자유인이 된 흑인을 납치해 남부에 내다 파는 인신매매단으로부터 노예를 조달받았다. 농업(면화, 사탕수수 등)을 위해 인부가 필요했던 남부의 지주들은 노예를 사들여 자신들의 부를 축적했고, 대다수의 백인 지주들은 노예 관리자들을 통해 가혹하게 흑인 노예들을 다루었다.

대강의 줄거리, 대강의 줄거리

영화 노예 12년은 실화를 배경으로 만들어졌다. 시대적 상황은 서두에서 언급했듯이 노예제도에 대해 주마다 차이가 있는 1840년대로, 북부에 거주하는 한 자유 흑인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2014년 개봉해 2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흑인 노예들의 잔혹한 노예생활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영화를 보면서 답답함과 불쾌감이 마음을 짓누른다. 영화의 주인공 솔로몬 조제프(치웨텔 에지오포)는 노예에서 자유인이 돼 가족을 만들고 바이올린 연주자로 살아간다. 어느 날 현지인의 소개로 알게 된 백인 2명을 통해 워싱턴으로부터 좋은 조건으로 연주 요청을 받게 된다. 그러나 해당 백인은 인신매매단으로 조셉을 남부의 백인 지주에게 팔아넘긴다. 영화 노예 12년은 실화를 배경으로 만들어졌다. 시대적 상황은 서두에서 언급했듯이 노예제도에 대해 주마다 차이가 있는 1840년대로, 북부에 거주하는 한 자유 흑인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2014년 개봉해 2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흑인 노예들의 잔혹한 노예생활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영화를 보면서 답답함과 불쾌감이 마음을 짓누른다. 영화의 주인공 솔로몬 조제프(치웨텔 에지오포)는 노예에서 자유인이 돼 가족을 만들고 바이올린 연주자로 살아간다. 어느 날 현지인의 소개로 알게 된 백인 2명을 통해 워싱턴으로부터 좋은 조건으로 연주 요청을 받게 된다. 그러나 해당 백인은 인신매매단으로 조셉을 남부의 백인 지주에게 팔아넘긴다.

처음 만난 백인 지주는 인간미 있고 착한 사람으로 비친다. 조셉을 인격적으로 잘 대하고 바이올린도 선물하는 등 호의를 베풀었다. 그러나 중간 관리자와 문제가 생겨 백인 지주가 빚에 쪼들려 팔려 나간다. 처음 만난 백인 지주는 인간미 있고 착한 사람으로 비친다. 조셉을 인격적으로 잘 대하고 바이올린도 선물하는 등 호의를 베풀었다. 그러나 중간 관리자와 문제가 생겨 백인 지주가 빚에 쪼들려 팔려 나간다.

새로운 백인 지주는 흑인 노예를 엄격하게 다룬다. 백인 지주 사이에서도 악명 높은 새 지주는 젊은 여자 성노예를 강간하고 조셉과도 갈등을 빚는다. 흑인 노예들은 낮에 농장에서 일을 하고 건물을 짓는 등 온갖 잡일을 한다. 기본적인 일은 면화를 따는 것이다. 흑인 노예들은 생산성이 떨어지면 채찍질을 받는 등 공개 재판식에서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는다. 조셉은 자신의 처지를 알고 일상으로 돌아가고 싶어한다. 탈출은 엄두도 못 내고 가족들에게 자신의 상황을 알리고 싶지만 쉽지 않다. 조셉(ジョセフは生活?)은 노예 생활에서 벗어나 자신의 자리로 돌아갈 수 있을까? 새로운 백인 지주는 흑인 노예를 엄격하게 다룬다. 백인 지주 사이에서도 악명 높은 새 지주는 젊은 여자 성노예를 강간하고 조셉과도 갈등을 빚는다. 흑인 노예들은 낮에 농장에서 일을 하고 건물을 짓는 등 온갖 잡일을 한다. 기본적인 일은 면화를 따는 것이다. 흑인 노예들은 생산성이 떨어지면 채찍질을 받는 등 공개 재판식에서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는다. 조셉은 자신의 처지를 알고 일상으로 돌아가고 싶어한다. 탈출은 엄두도 못 내고 가족들에게 자신의 상황을 알리고 싶지만 쉽지 않다. 조셉(ジョセフは生活?)은 노예 생활에서 벗어나 자신의 자리로 돌아갈 수 있을까?

의미 있는 시선 의미 있는 시선

영화 노예 12년에는 몇 가지 생각할 수 있는 장면이 있다. 노예를 평가하는 기준. 곧 벌거벗은 상태로 노예의 상품 가치를 채운다. 남성은 체격조건, 여성은 피부색이 옅고 나이 등으로 가치를 판단한다. 백인 지주에 대한 흑인 노예의 고백은 뼈를 깎는다. 아무리 훌륭하고 선량한 백인이라 하더라도 땅 주인은 땅 주인에 불과하다는 사실이다. 인신매매를 통해 불법으로 팔려온 노예들의 사정을 충분히 알면서도 외면하는 장면이 눈에 띈다. 좋음의 기준은 허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라는 선긋기. ‘선량함의 임계점, 즉 노예는 결국 노예다’라는 점에서 선량한 백인 지주의 자비는 한계점을 지닌다. 기독교 종교의 위선도 시험할 수 있다. 영화 노예 12년에는 몇 가지 생각할 수 있는 장면이 있다. 노예를 평가하는 기준. 곧 벌거벗은 상태로 노예의 상품 가치를 채운다. 남성은 체격조건, 여성은 피부색이 옅고 나이 등으로 가치를 판단한다. 백인 지주에 대한 흑인 노예의 고백은 뼈를 깎는다. 아무리 훌륭하고 선량한 백인이라 하더라도 땅 주인은 땅 주인에 불과하다는 사실이다. 인신매매를 통해 불법으로 팔려온 노예들의 사정을 충분히 알면서도 외면하는 장면이 눈에 띈다. 좋음의 기준은 허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라는 선긋기. ‘선량함의 임계점, 즉 노예는 결국 노예다’라는 점에서 선량한 백인 지주의 자비는 한계점을 지닌다. 기독교 종교의 위선도 시험할 수 있다.

백인 지주들은 모두 기독교인으로 묘사된다. 성경을 읽고 기도를 하지만 여전히 노예제도를 즐긴다. 제대로 된 신앙인이라면 노예라는 반인륜적 제도를 결코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신이 인간을 차별해서 만들지 않았다. 백인 지주들이 성경 구절을 오독해 자신의 형편에 맞게 적용하는 모습은 종교의 편의주의에 대한 문제를 목격하게 된다. 제도라는 틀 속에 숨어 버젓이 악행을 저지르고 즐기는 백인들의 모습은 위선의 끝을 보게 한다. 악의 평범성이랄까? 백인 지주들은 모두 기독교인으로 묘사된다. 성경을 읽고 기도를 하지만 여전히 노예제도를 즐긴다. 제대로 된 신앙인이라면 노예라는 반인륜적 제도를 결코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신이 인간을 차별해서 만들지 않았다. 백인 지주들이 성경 구절을 오독해 자신의 형편에 맞게 적용하는 모습은 종교의 편의주의에 대한 문제를 목격하게 된다. 제도라는 틀 속에 숨어 버젓이 악행을 저지르고 즐기는 백인들의 모습은 위선의 끝을 보게 한다. 악의 평범성이랄까?

노예 12년 구경가 노예 12년 구경가

문제의식을 제공하는 좋은 영화다. 2014년 오스카 3개 부문 수상(작품상, 여우조연상, 각색상)으로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 주제의식도 뚜렷하고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라 현실감이 있다. 진지한 영화, 사회성을 반영한 영화를 좋아한다면 몰입해서 보기에 충분한 영화다. 문제의식을 제공하는 좋은 영화다. 2014년 오스카 3개 부문 수상(작품상, 여우조연상, 각색상)으로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 주제의식도 뚜렷하고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라 현실감이 있다. 진지한 영화, 사회성을 반영한 영화를 좋아한다면 몰입해서 보기에 충분한 영화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