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디호치키스 #나르시시즘의 심리학 #교양인
나르시시즘 심리학 저자 샌디 호치키스 출판 교양인 발매 2006.10.30.

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에 이어 나르시시즘(자기애성 성격장애)에 대한 경고도 언론을 통해 점점 더 들리는 듯하다. 이들은 뉴스에 나올 법한 강력범죄를 저지르지 않더라도 우리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가해자 역할을 맡는다. 어렸을 때 그리스 신화에서 읽은 #나르키소스의 이야기는 나에게 꽤 매력적이었지만(얼마나 아름다워야 내 자신과 사랑에 빠질 수 있을까에 대한 환상이었다) 심리학에서 말하는 나르시시즘은 그런 매력과는 거리가 멀었다. 나르시스트는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자신감 넘치는 사람들이 아니라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중독 환자에 가깝다.
많은 나르시스트들이 세상에 보여주는 페르소나는 종종 타인에게 우월감으로 비친다. 하지만 그 오만한 가면 뒤에는 깨지기 쉬운 자존심 풍선이 숨어 있다. 그 자존감은 ‘잘했다’ 혹은 ‘너무 잘했다’는 기준으로는 충족되지 않고, 반드시 ‘누구보다 좋다’고 말해야 충족된다. 남보다 낫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가치는 항상 상대적일 뿐 절대적 가치는 없다. p.31

나르시스트는 얼핏 능력이 있고 매력적인 성격의 사람처럼 보인다.이는 그들이 정말 잘생겨서가 아니라 매력적인 가면 뒤에 초라한 자신의 모습을 감추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책에서는 다양한 나르시시즘의 특징을 에피소드를 통해서 소개하지만 제가 살고 잘 보고 온 눈살을 찌푸리는 행동이 대부분 나르시시즘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많았다.덧붙여서 고백하자면 저의 성격 중에도 그런 부분이 있다.다행히도 그런 한두가지의 특징만으로 그 사람을 나르시스트와 진단할 수 없다는.나르시스트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매우 복잡한 경우가 많아 항상 부정적이지 않다.가끔 우리는 그들의 실제보다 과장된 자질, 어떤 식으로든 그들이 뛰어난 능력 있는 사람이라는 분위기가 우리 자신도 편입될 때 느끼는 특별한 기분에 현혹된다.p.120
나르시스트는 각계 각층에서 권력을 갖고 있거나 혹은 집단 내에서 리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자기애성 성격 장애의 특성상 누군가 위에서 군림하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기 때문이다.가끔 자기애적인 부모의 양육된 경우, 나르시스트로 인정되기 때문에 본인이 착취당하고 있다는 사실도 모른 채 그들의 기분을 맞추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도 있다.능력 있고 뛰어난 사람에게 인정될 때 자신이 좋은 사람이 된 듯한 착각에 빠지는 것이다.스스로의 가치를 남의 잣대에 비추어 재는 것은 나르시시즘 성향의 일부이지만 피해자 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타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수치심을 느낀다고 한다.”개인적 신화”는 자신이 위대하다는 나르시스트의 환상을 특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이 신화에 빠지면 자신이 어느 정도 사람보다 특별하고 재능과 노력에 관계 없이 큰 영예를 받는 운명이라고 생각하고 행동하지 않나!!!반면 환상이 실질적으로 동기를 부여하고 현실적인 성취에 이끌 수 있으면 건강한 나르시시즘이 작용하고 있다고 봐도 좋다.결국 성취도의 대부분은 꿈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니까.p.231-232

나르시시즘은 가져서는 안 될 부정적 성향임에 틀림없지만 일부 특성은 유아기와 청소년기 발달에 필수적이다. 특히 이는 ‘자신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성인들은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내가 할 수 있는 일과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구분하지만 어린 아이들이 세상을 배우기 위해서는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필수 요소라고 한다. 그래서 아이들의 무모한 행동이나 모험심은 그들의 정서 발달에 필수적이며, 너무 많은 것을 제한하는 부모를 만났을 경우 아이가 성취감을 경험하지 못하기 때문에 성인이 되어서도 목표치를 역량보다 낮게 측정하거나 자기 확신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다양한 관계 속에서 볼 수 있는 나르시스트에 대해서 말하지만, 특히 부모가 나르시스트인 경우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나르시스트의 부모가 어떻게 어린이의 심리 상태를 부수는지부터, 어떤 방법으로 아이를 양육하면 성인이 되어 나르시스트들에게 대항하게 대처할 수 있는지까지 육아에 관한 다양한 설명이 나오고 있어서 아이를 키우는 사람이 읽어도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사이코패스 범죄의 표적이 될 확률은 낮지만, 나르시스트와 집단 내에서 관계를 맺고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당할 확률은 매우 높다.사회의 일원이라면 누구라도 나르시스트에 접한 경험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위에서도 잠시 언급했지만 스스로 나르시스트는 아닌지 의심한 적이 있어서 책을 고르게 되었지만 다행히 나는 자기애성 성격 장애를 갖고 있지 않고, 나르시스트에 만나서도 잘 대처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결론지었다.반면, 제 주위에도 부탁을 잘 거절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남의 눈치를 보는 사람이 가끔 있지만, 그들에게 이 책을 꼭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다.